글로벌 사건

매독의 증가와 그 심각성: 실명까지 이를 수 있는 성병의 위협

펜의 칼날(PenBlade) 2025. 2. 16. 01:50
728x90

최근 들어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매독의 급증이 보고되면서, 이 성병의 위험성과 예방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습니다. 매독은 '트레포네마 팔리덤(Treponema pallidum)'이라는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며, 주로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지만 임신 중 태아에게 수직 감염되거나 혈액을 통해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.

매독 뉴스, 증상과 치료법

 

매독의 경과와 합병증:

매독은 1기, 2기, 3기로 진행됩니다. 초기에는 통증 없는 궤양이 생기며, 1기에서 치료받지 않으면 2기로 진행됩니다. 2기에서는 가려움 없는 피부 발진, 발열, 인후통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. 치료받지 않고 방치하면 3기에 이르러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, 내부 장기와 중추신경계, 심장, 간 등을 침범합니다. 최근에는 매독의 합병증으로 실명 위기에 놓이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

연구 결과와 우려:

강북삼성병원 안과 송수정 교수 등의 연구에 따르면, 매독성 포도막염은 매독 진단 후 평균 2~3년 후에 발생하며, 특히 30대 남성과 20대 여성에서 두드러진 감염 패턴을 보였습니다. 매독성 포도막염은 눈의 모든 부위를 침범할 수 있으며, 심할 경우 실명까지 초래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예방이 중요합니다.

 

예방과 대처 방법:

WHO는 콘돔 사용을 통해 안전한 성관계를 가지는 것이 매독균 감염 예방의 최선책이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. 또한, 질병관리청은 성매매, 즉석 만남 등 위험한 성 접촉을 피하고, 감염이 의심될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받을 것을 당부합니다.

 

결론:

매독의 증가는 현대 사회에서의 성 건강 문제를 재조명하게 합니다. 이 성병은 단순한 성병을 넘어서 장기적으로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, 특히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예방이 최우선이며, 의심되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, 성 건강에 대한 교육과 예방이 더욱 강화되어야 합니다.

728x90